할머니가 해주시던 옛날 이야기가 기억난다. 육이오때는 다들 먹을 것이 부족했다. 피난민이었던 할머니는 활활 타오르는 장작불 위에 큰 가마솥을 올려놓고, 몇 개 안 되는 김치를 콩알만한 밥과 함께 멀겋게 끓이셨다. 그리고 주위의 피난민들과 나누어 드셨다.
 김치죽에 관련된 이 이야기는 너무나 비참했지만, 꼬마였던 난 할머니 입에서 술술 풀어져나왔던 그 이야기를 호기심 가득한 눈과 귀로 흡수했었다. 할머니가 경험하셨던 그 일들은 이후 나의 독후감 과제에서, 글쓰기 경시 대회에서, 일기에서, 꿈에서조차 등장하는 단골 소재가 되었다. 내가 지금 기억하는 할머니의 이야기가 얼마나 사실적인지는 장담할 수 없다. 한 가지 분명한건 나의 기억이라는 필터를 거쳐서 이야기는 변형을 거듭했고 나만의 이야기로 재탄생했다는 것. 영화 <애프터 미드나잇>에서 감독이 속삭였던 것처럼, 공기 속을 부유하는 '이야기'는 연기와 같이 흔적도 없이 휘발되지만 그 향기만은 오래도록 남는다.  

 이야기를 할 때 발화자와 청취자의 위치는 기울어져있다.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이 내뱉는 단어 하나하나에 사로잡히곤 하니, 그 때만큼은 발화자가 이야기라는 세계의 권력자이다. 혹여 말하는 걸 멈추기라도 하면 다음 내용이 궁금해서 견딜 수가 없다. 듣는 사람은 조르고 재촉한다. "그래서 그 다음은 어떻게 됐어?" 알렉산드리아가 줄곧 로이에게 하는 말이다.

 아주 오랜 옛날, 미국 LA에서 알렉산드리아와 로이는 우연히 만난다. 로이는 알렉산드리아의 이름을 딴 '알렉산더 대왕' 이야기로 꼬마에게 접근하고, 알렉산드리아는 로이의 입에서 쏟아져나오는 이야기의 세계에 점점 빠져든다. 스턴트맨인 로이는 영화촬영 중 위험한 추락 장면을 찍다가 다리와 허리를 다쳐서 한 발짝도 움직일 수 없다. 이 꼬마를 이용해 자살에 사용할 약을 구하려는 목적을 숨긴 채 이야기는 점점 상상의 나래를 펼쳐간다. 

 로이는 발화자로서, 알렉산드리아는 청취자로서 그 둘은 이야기라는 공통의 장(場)에서 만난다. 로이가 이야기에서 가공해내는 인물들은 알렉산드리아의 머리속에서 일상의 이미지들과 섞여서 새롭게 주조된다. 그래서 알렉산드리아는 단순한 청취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때론 이야기에 개입하고 자신의 경험으로 이야기에 살을 붙여가는 적극적인 주체가 되는 것이다.



 감독의 판타지이자 알렉산드리아의 판타지이기도 한 로이의 대서사시는 영화 속의 영화. 관객도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환상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나이는 5살, 5살의 아이의 말랑말랑한 두뇌에서 구현되는 놀라운 상상의 세계. 이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소재가 있다. 제목이 암시하듯, 영화는 추락(The fall)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을 시도한다. 절망의 나락에서 존재를 구원할 수 있는 것은 하늘로 자신의 몸을 던져서 이 절망을 마무리 짓는 추락이라는 행위이다. 절망을 끝맺을 수 있는 선택, 추락하는 순간의 환희는 곧 이어 이어질 고통으로 대체되지만 이 순간만큼 존재는 자유롭다. 

 영화는 이 모든 의미들을 넘나든다. '절망의 미로'에 갇힌 인디언의 아내는 절벽에서 몸을 던져 저항하고, 로이는 강물로 몸을 던졌다. 좌절하는 로이를 위해 알렉산드리아는 모르핀을 구해주려다가 발을 헛디뎌 땅바닥으로 떨어진다. 영화는 구석구석 추락의 이미지들을 의미심장하게 심어놓는다. 심지어 영화 초반, 병원 옆 야자수 나무 잎 마져 땅으로 하강한다. 

 로이에게 알렉산드리아는 구원의 성체를 음식이라며 입에 넣어준다. 하지만 희망을 잃고 추락한 그에게 알렉산드리아라는 인물 자체가 구원이다. 추락 너머의 죽음을 자꾸만 갈망하는 로이에게 알렉산드리아는 의도치는 않았지만 자신이 직접 추락함으로써, 로이에게 삶의 의지를 불어넣어준다.

 이 영화는 알렉산드리아가 품는 로이에 대한 따뜻한 애정처럼, 숱하게 추락을 감행했던 무성영화 시대의 스턴트맨들에게 바치는 헌사이기도 하다. 스턴트맨들에게 추락은 하나의 예술행위이다. 기차에서, 다리에서, 절벽에서, 빌딩 꼭대기에서 뛰어내리지만 얼굴은 없는 또 한 명의 주인공들. 그들은 영화에서 없어서는 안되지만 결코 부각되지 않는다. 주인공의 그림자에 가려진 그들은 로이처럼 큰 부상을 입고 때론 죽기도 하지만 언제나 영화의 변두리에 머물러 있다. 마지막, 무성영화에 출연했던 스턴트맨들의 추락 장면을 편집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영화는 대서사시의 대미를 장식한다.    

 영화는 알렉산드리아와 로이가 만들어내는 이야기를 스크린에 경이로울 정도로 펼쳐낸다. 인도, 터키, 중국, 영국, 피지섬, 칠레 등의 나라를 돌면서 올 로케이션으로 촬영한 풍광은 보는 이를 압도한다. 오렌지색 사막과 시리도록 푸른 하늘, 미로같은 계단들, 나비의 모습을 따다놓은 미지의 섬 등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혹은 그 이상의 세계를 만들어낸다. 게다가 더욱이 놀라운 것은 단 하나의 CG도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 백문이불어일견이라고 그 이미지들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쓸모 없어 보인다. 백번의 말보다는 한 번의 감상이 이 모든 말을 대신하리라. <더 폴>은 내가 1월에 찾아낸 '아메리카나 엑소티카'이다.

p.s 사족 하나:
 찰스 다윈의 원숭이로 나오는 '월레스'는 진화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동료 박물학자이자 당시에 지구 반대편인 말레이시아에 머물고 있었던 Alfred Russel Wallace의 이름을 따온 것이라고 한다. 그 당시 월레스는 다윈에게 편지와 함께 짤막한 논문을 동봉하였고 그에 대한 다윈의 의견을 물었다고 한다. 그 논문은 다윈의 이론과 아주 흡사한 진화에 관한 이론을 요약한 것이었다. 다윈은 이렇게 말했다. "만약 월레스가 1842년에 씌어진 나의 필사본 초고를 가지고 있다면, 이보다 초록을 더 잘 쓸 수는 없을 것이오!" 다윈과 월레스는 1858년 린네협회에서 공동 발표를 하기도 합의하였다. 게다가 이후, 다윈은 짤막하게 쓴 책의 서론에서 비글호 여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와 유사한 이론에 대한 공을 월레스에게 돌렸다고 한다. (현대심리학사 p.158~159, C. James Goodwin, 시그마프레스) 

 월레스는 다윈과 상당히 비슷한 이론을 가지고 있었던 셈이다. 감독 타셈 싱은 로이가 만들어내는 캐릭터들을 자신들이 존경하는 인물들로 구성했는데, 다윈도 그 중 하나다. 원숭이 ‘월레스’는 앞서 언급한 대로, 다윈에게 모든 업적을 빼앗긴 자연학자 ‘알프레도 월레스’를 모델로 했는데, 타셈 싱은 그를 두고 ‘역사상 가장 오해 받은 캐릭터’라 칭하며, 원숭이로 묘사한 이유를 밝혔다. (씨네21)

Posted by 바라의낙타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