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히틀러와 다르다는걸 알려야해.” 영화의 처음과 끝을 단단히 매듭짓는 슈타펜베르그 대령(톰 크루즈)의 대사이다. 이 영화는 실패의 기록이지만, 히틀러의 광기어린 역사를 멈추고 독일의 명예를 씻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에 대한 것이다. 역사의 물결은 워낙 거대해서, 그 거대한 흐름을 바꾸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하지만 슈타펜베르그 대령과 그 주변 인물들은 히틀러의 나치 제국이라는 오명을 역사책에서 바로잡겠다는 대의 하나만으로 이 거센 강물에 둑을 세우려고 했다. 그리고 거의 성공할 뻔 한다.


 하지만 언제나 역사의 애틋함이라는 것이 그렇듯이, 이들 역시 대단치 않은 변수 하나로 인해 둑을 쌓아올리는 대신 역사라는 강물에 휩쓸려버린다. 우리는 대부분 성공한 영웅을 중심으로 역사를 기억한다. 이들의 작전은 실패했기 때문에 이들은 영웅으로 추앙받지 못했다. 히틀러와 다른 독일군 장교라는 사실은 별로 알려지지도 못한 채 독일 패전 9개월 전에 총살을 당하고 만다. 그래서 영화는 이 모든 작전을 이끄는 슈타펜베르그 대령을 상당히 할리우드적으로, 정의의 사도처럼 묘사한다. '실패한 영웅'인 슈타펜베르그의 캐릭터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또한, 어찌되었든 독일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슈타펜베르그의 생각은 이해는 되지만 답답하다. 그는 죽는 순간조차 '죽어라 히틀러'가 아닌 '독일이여 영원하라'고 외치니 말이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나의 눈을 잡아끈 것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슈타펜베르그 대령의 대범한 행동과 대비되는, 선택 앞에서 고민하는 개개인의 모습이었다.



 암살 시도가 있은 직후, 통신을 담당하는 장교는 ‘쿠데타가 일어났다. 어느 쪽을 선택해야하지?’ 라며 목숨을 좌지우지할 선택 앞에서 고뇌하는 모습을 보이고, 암살 계획 전에 몇몇 장교들은 애매한 모습을 보인다. 사실 몇몇 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들은 그리 강인하지 않다. 대의 보다는 자신의 이익과 목숨을 우선시하기 쉽다. 하지만 모두가 범인이라면, 우린 인간이 아니라 초인이라고 불려야할 것이다. 인간이기에 나약하고, 역사의 흐름에서 어느 쪽을 선택해야할지 갈팡질팡 고민한다. 그 선택이 잘못된 것인지 잘된 것인지는 시간이 흐른 후에만 알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수의 사람들은 폭풍에 휩쓸리듯, 대부분이 하는 선택을 하고 다수를 지지한다. 그렇기에 역사 앞에서의 개인은 무력해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작은 개인의 선택이 큰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다는 것은 아이러니이다. 암살에 가담하는 사람과 이를 거부하는 사람간의 신경전이 벌어지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었을 것이다. 그런 무수한 위험과 갈등 속에서도 윤리적으로 타당한 일을 하기 위해 분투했던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을 영화는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나머지 하나는 감독 브라이언 싱어가 유태인이라는 사실과 영화의 연관성이었다. 감독은 유태인이었기에 나치 영화를 만들고 싶은 무의식적 혹은 의식적 욕망이 있었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홀로코스트를 다루는 영화를 만든 것이 아니라, 절대 악의 상징인 ‘히틀러’를 독일인이 암살하려고 했던 시도를 영화에 담았다. 재미있다. 독일인의 악한 성향이 배태해냈다고 믿는 히틀러를 같은 독일인이, 그것도 히틀러의 근처에 있던 상위급 장교가 암살하려고 했다는 것. 그것은 나치를 확인 사살하는 것과 동시에 ‘독일인’에게는 면죄부를 주는 일일지도 모른다. 독일인의 악한 국민성이 히틀러를 만들어냈다는 은근한 편견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실화인 '발키리 암살 작전'을 통해 확실히해준 것이다. (여전히 이 작품에서도 ‘his'tory라는 아쉬움이 있다. 부인과 자식들은 여기에서 희생이 될 수 밖에 없는 부차적인 존재이다-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아쉽지 않을 영화는 거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는 이스라엘인들에게 묻고 있는 것만 같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역사적 폭력의 가해자로서, 이 폭력을 멈추고 싶은 이스라엘인은 나서서 양심선언이라도 해주길 바란다고. 되풀이되는 학살의 역사를 당신들은 기억하고 있지 않은가. 그 끔찍한 역사를 이제는 당신들이 자행하고 있는데, 역사를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응당 제동을 걸어야 하는 일 아닌가? ‘이스라엘’이라는 폭력적 국가와 다르다는걸 이 기회에 밝혀보는건 어떤가.


Posted by 바라의낙타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