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기 전 공교롭게도 나는 양육을 갈급한다는, 스스로도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시기를 한 차례 통과했다. 아이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던 내가 길을 가던 낯선 아이에게 넋을 잃고 빙그르 웃는다거나, 여자 옷과 구두에만 온통 눈이 팔려 있었던 예전과는 달리 아동복 코너에 걸려있는 옷을 나의 아이에게 입혀 보는 상상을 하곤 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가지고 싶다거나, 함께 아이를 키우고 싶다는 구체적인 상황에 놓여 있지는 않았다. 내 곁에는 아무도 없었고, 굳이 '나의 핏줄'을 고집하는 것도 아니었으니까. 그것은 누군가와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리는 형태와는 전혀 별개의 충동이었다.

 

 설레는 상상 뒤에는 두려움에 가까운 감정이 찾아오기도 했다. 양육이 장밋빛 낙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과정이 고되다는 것만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낯선 느낌이랄까. 내가 전적으로 책임질 존재가 어떠할지 전혀 알 수 없다는 사실은 난감한 진실이었다. '케빈에 대하여'를 보기가 망설여졌던 까닭은, 그 낯선 두려움을 퍼낼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었다. 예상대로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에바에게 강한 몰입을 하게 하고, 극단까지 상황을 몰고 간다. 이 사회에서 한 번쯤 양육을 생각해봄직한 여성이, 엄마로서 겪을 수 있는 최악의 악몽이 그려진다. 나는 한 편의 영화를 본 것 치고는 꽤나 오랫동안 여파에 시달려야만 했다. 에바처럼 번번히 악몽에 시달리다가 허겁지겁 잠의 장막을 찢고 나왔고, 감정은 딱딱하게 굳어서 슬픔과 아픔은 구별이 어려웠다. 익숙한 종류의 악몽이었다. 에바가 빠진 늪에는 죄책감과 같은 시체들이 쌓여 있다. 캐빈이 죽이기도 한 그 많은 시체들은 밤마다 그녀를 괴롭혔으리라.

 

 영화의 첫 장면에서 우리는 자유로운 여행가로서의 에바가 스페인의 토마토 축제에 있는 모습을 본다. 사람들이 높이 들어올린 에바는 허공에 떠 있다가 곧 이어 토마토가 으깨진 웅덩이에 처박힌다. 여기저기에서 비난의 소리가 들린다. 마녀 같은 년, 지옥에나 가라고. 붉은 토마토에 뒤덮힌 에바는 잠에서 깨어난다. 꿈이면 좋겠다고 생각한 순간들이 있는가. 현실이면 좋겠다고 생각한 꿈이 있는가. 에바에게는 행복한 순간들이 이제는 꿈에서나 볼 수 있는 박제된 과거로 남았으며, 그마저도 온전치 못하다. 현실의 목소리들은 꿈까지 침투해 온다. 끔직한 순간들만이 현재를 습격한다. 그리고 에바의 의식과 무의식이 끊임없이 뒤섞이며 경계를 넘나드는 과정을 우리도 함께 체험한다. 철저하게 그녀의 입장에서 실패한 케빈과의 관계를 반추하고, 그것을 되풀이해야만 한다. 관객은 에바가 돼서 '왜?'라는 질문에 사로잡힌다.

영화는 끝끝내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 오로지 에바의 시점에서만 상황을 볼 수 있는 우리들은 에바의 머리 속을 헤매일 뿐, 케빈의 속은 알 수 없다. 혹자는 에바의 혼란을 표현하는 각종 기법을 쓰기 위해서 케빈의 불가해한 잔인성을 이용했다는 혐의를 씌우기도 하지만, 영화의 목적은 '설명'이 아니라 불가해한 공포를 '서술'하는 것이기 때문에 케빈에 대해서는 과묵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케빈을 노출했다면 영화가 만들어내는 공포는 줄어들지 않았을까.

 

 에바는 케빈을 그 시기, 그 상태에서 반기지 못했. 시간이 흘러 인생의 다른 길목에서는 어쩌면 아이를 원했을 수도 있다(혹은 평생 그러지 않았을 수도 있다). 앞서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나 결혼과는 무관하게 아이를 꿈꾸었듯, 그녀는 프랭클린이라는 애인과의 사랑에도 불구하고 그러지는 않았하지만 이 미묘한 차이는 보통 '모성'이라는 단어로 뭉뚱그려진다.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모성이 있고, 언제든 그것이 발현된다는 뿌리 깊은 인식으로 여성들은 양육이라는 엄청난 과정을 관습적으로 시작한다. 케빈의 말처럼 좋아하는 것과 익숙한 것은 다르다. 하지만 어머니라는 역할을 좋아서 선택하는 경우만큼이나 시작했으므로 익숙해지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은, 주변에서 흔히 접하불행한 가족사만 봐도 알 수 있다. 에바가 주변의 예비엄마들과는 이질적으로 앉아서 대조되는 모습이나 무표정한 얼굴로 아이들이 쾌활하게 달려나오는 통로를 걸어나오는 씬은, 그녀에게 임신과 출산은 단지 당혹스러운 노동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그녀는 원래 모성이 부족하다고 쉽게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 시기' 그녀의 주된 행복은 여행가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사는 것이었을 테니까.

 

여기에 영화의 리얼리티가 있다. 말랑한 가족 영화에서는 모성을 하나의 전제로 깔고 이야기를 진행하지만, 여기에서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모성 자체를 문제 삼는다. 그녀는 양육에 특히 서툴렀고 진정으로 원하지도 않았다. 아이는 그걸 알지는 못해도 직감적으로 느끼고 있었을 것이다(불쑥 나와서 흐르는 노래의 가사는 캐빈의 심정을 대변하는 듯 보이기도 한다). 남편은 그걸 알지 못했고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아이는 명확한 이유 없이 엄마를 증오하는 아들로 자란다. 그리고 첫째의 질투를 살 만한 둘째가 태어난다. 가족 간의 관계는 처음부터 비틀리고 계속 꼬여가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위의 인용구를 보면, 완벽한 양육은 가능하지 않다는 의구심이 든다. 자식이 가능한 한 많이 바라는 무조건적인 인정과 수용은 같은 인간으로서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어느 정도의 실패는 이미 예정되어 있는 게 아닐까. 에바와 케빈은 각자의 방식으로 최선을 다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노력들은 실패하고 많은 죽음을 낳는다. 끝까지 베일에 가려진 케빈의 의도를 알 수는 없지만, 가족 중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에바도 사회적으로는 죽은 것이나 다름 없다. 책까지 출판하며 사회적으로 이름을 알린 '에바 캐치도리언'은 아들의 행동으로 순식간에 남편과 딸을 잡아먹은 마녀로 몰린다. 시작부터 등장하는 시뻘건 페인트는 사회로부터 찍히는 낙인이고, 에바가 아무리 지우려고 해도 깨끗하게 없어지지 않는다. 직장이나 마트 어디를 가도 붉은 낙인은 따라온다.  

 

영화의 주된 공포는 엄마와 아들이라는 절대적인 관계가 실패했다는 데 있고, 그 아들을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극대화 된다. 언제나 케빈에게 주도권을 놓쳤던 에바가 케빈의 말에 담담하게 반응하는 마지막 장면을 제외하고는, '무지(無知)에서 오는 공포'로 긴장감을 한시도 늦출 수가 없다. 나의 뱃속에서 나온 핏줄이 상상도 못한 끔찍한 일을 저질렀을 때,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을 무력하게 받아들일 뿐 아니라 책임져야 할 때,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이 나를 옭아매는 족쇄가 될 때의 그 공포인 것이다.

 

 

 

 

 

 

Posted by 바라의낙타뿔
,